심리학이 서른 살에게 답하다

 

대한민국 서른 살의 공식 멘토,
김혜남 선생님이 들려주는 “서른 살이여, 이렇게 살아라!”
대한민국 서른 살 37만 명의 마음을 움직인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의 후속작. 정신분석의 김혜남은 전작에서 국내 최초로 심리학의 관점에서 서른 살을 조망하여, 대한민국에 서른 살 열풍을 일으켰다. 저자는 이제 그들에게 좀 더 적극적인 조언을 건넨다. 자기 연민과 냉소, 우울 등 숨기고 싶은 내면의 감정을 이해하는 법에서부터 유머 감각과 호기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까지, 이 책에는 서른 살이라면 누구나 겪었을 법한 고민의 순간을 고스란히 담은 52가지 조언이 담겨 있다. 저자는 이를 통해 ‘왜 서른 살은 문제가 많은지,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분석하고, 때론 상처 받고 때론 포기하고 싶은 마음이 들더라도 고민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리고 말한다. “문제를 해결하는 힘을 이미 당신 안에 있다. 이제 거침없이 나아가라”고. 52개의 조언에는 심리학적 분석뿐만 아니라 쉰 살의 저자가 인생에서 배운 지혜가 함께 녹아들어 더욱 큰 공명을 일으킨다.

주요 내용
1) 문제 많은 서른 살, 그러나 문제는 이미 해결 중이다

서른 살, 지금 그들은 스스로 문제가 많다고 생각한다. 과거 서른 살은 열심히 일하고, 아이를 낳아 기르면서 앞을 보며 달려가는 시기였다. 그러나 불안이 만연하고 좌절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운 지금, 서른 살은 열심히 노력해도 어느 것 하나 제대로 이루기 어려운 나이가 되었다. 그들은 과거 세대와 비교해 무능한 자신을 창피하게 여기고, 무엇 하나 제대로 하는 게 없다며 자책하고 있다.
또한 서른 살은 문제를 해결하기에 늦은 나이라고 생각한다. 이미 꿈을 성취하기 시작한 사람들이 주변에 보이기 시작하고, 그들과 자신을 비교하면서, 능력을 키우거나 성격을 변화시키기엔 너무 늦었다고 판단하고는 자포자기 해 버린다. 그래서 우울에 빠지고, 자기연민을 느끼며, 냉소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문제가 많다고, 그러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판단한 서른 살의 젊은이들. 하지만 고민하는 이 순간에도 문제는 이미 해결되고 있다. 사람들은 ‘우울’을 절망적인 상황에 빠져 어쩔 수 없이 느끼는 감정으로 여긴다. 그러나 우울은 일상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때, 기존의 정보와 새로운 정보를 통합해 문제를 해결해 보려는 무의식적인 시도이다. 즉 우울을 느끼는 것 자체가 이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 있다는 증거이다.
이처럼 우리의 자아는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문제를 해결하려 애쓰고 있다. 왜냐하면 우리에겐 ‘복원력’이 있기 때문이다. 힘든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그 스트레스를 이겨내도록 돕는 힘 ‘복원력’. 다시 말해 인간은 누구나 스스로 치유할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끝없는 터널을 지나듯 끝나지 않을 것 같은 고통을 겪고 있다고 해서 부끄러워하거나 좌절할 필요는 없다. 저자는 우리에게 이렇게 말한다.
“다시 시작할 수 있는 힘은 이미 당신 안에 있다!”

2) 프레임을 바꾸면 약점도 강점이 된다
서른 살은 지금껏 살아오면서 형성된 자신의 가치관과 사회가 요구하는 가치관을 절반씩 받아들여 통합해 나가는 시기이다. 그런데 사회의 경쟁 논리가 점점 더 심화되면서 사람들은 눈앞의 결과만을 중시하게 되었다. 그 결과 ‘완벽, 특별함, 1등……’과 같은 가치만이 인정받는 분위기이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이제 막 발을 디딘 서른 살 젊은이들은 경쟁에서 살아남아야 한다는 압박감에 사회가 요구하는 가치를 무조건적으로 수용해야 할 상황이다.
그러나 사회가 요구하는 가치를 무조건 따라간다고 해서 ‘강자’가 될 수 없다. 오히려 기존에 가지고 있던 강점을 잃어버릴 위험이 많다. 또 ‘~해야 한다’는 당위성과 절대성을 지닌 말이 많아질수록 공포와 분노 같은 정서 상태를 만들어 내기 쉽다. 그러므로 사회가 요구하는 가치들을 뒤집어 볼 필요가 있다.
약점을 제거하려는 노력은 오히려 강점을 함께 제거할 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약점은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강점을 키워라. (‘약점을 고치려 애쓰기보다 강점을 키우는 데 집중하라’) 특별하지 못한 평범함 속에 우리가 느끼는 일상의 행복이 있다. 그러므로 평범함의 가치를 깨달아라. (‘평범하다는 사실을 창피해 하지 마라’) 내성적인 성격과 외향적인 성격은 세상에 반응하는 서로 다른 방식일 뿐이다. 그러니 내성적인 성격을 부끄러워 말아라. (‘내성적인 성격을 고치려 하지 마라’) 이처럼 저자는 “~해야 한다”에서 벗어나 “~해도 괜찮다”라고 생각할 때에야 더 행복할뿐더러 더 잘할 수 있다고 말한다.

3) 쉰 살의 인생 경험이 녹아든 52개의 조언
이 책에는 저자의 여러 임상 경험뿐 아니라 그동안 살면서 겪은 개인적인 고민과 선택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처음 병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 ‘왜 이런 일이 나에게…’하며 혼란스러워 했던 경험, 레지던트 시절 첫 환자를 대하면서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 같아 고민했던 기억, 전문의가 된 뒤 책임이 버거워 도망가고 싶었던 일, 정신분석의로서 환자의 자살로 힘들었던 기억…….
쉰 살의 저자는 인생 경험을 통해 자신도 젊었을 때 같은 고민을 했음을, 그래서 힘들어 포기하고 싶었음을, 그럼에도 거쳐야 할 과정이라 믿고 노력하여 그 시절을 통과해 왔음을, 그리고 인생에서 결과보다 노력하는 순간순간이 소중하다는 것을 깨달았음을 조근조근한 목소리로 전한다. 정신분석의로서, 인생 선배로서 서른 살에게 전하는 조언들은 그래서 더욱 날카롭고 희망적이다.

 

김혜남 [저]

출처 인터파크 도서

댓글